AIG는 살았고 리먼은 죽었습니다.이게 결국 엮인 게 많아서 전체 시장에 큰 영향을 주는 회사는 살리고 죽어도 그만 살아도 그만인 회사는 죽인 것이죠. (리먼브라더스는 파생상품 거래는 안 하는 것으로 유명했다고 합니다. 리스크회피적인 회사로 채권중심으로 운영 되었다고 하지요. 때문에 망해도 파급 효과가 상대적으로 작다고여겼다고 합니다.) 대마불사 큰놈은 죽지 않는다

 

이런 말이 있습니다. 빚지는 것도 능력이다. 그렇습니다. 의돈 끌어들이는 것 능력입니다. 실제로돈은 꿔주기 전에는 빌리는 사람이 을이고 빌려주는 사람이 갑이지만, 꿔주고 나면 정반대의 상황이 발생하곤합니다.

 

시저와 크라수스가 생각나는군요. 시저는 40살 이전까지 놀고먹고 빚만 엄청나게 많이 지었죠. 아주 천문학적이었다고하는데, 이때 이를 빌려준 사람이 크라수스입니다. 크라수수는빚을 받기 위해서는 시저를 도와줄 수 밖에 없는 입장이 되었고, 결국3두정치의 형태로 시저는 두각을 나타내게 되었죠. 또 시저가 짱구를 굴려, 크라수스를 죽을 수밖에 없는 전쟁으로 몰아넣고 크라수스의 죽음과 함께 모든 빚을 청산해버렸죠.

 

참 아이러니한 현상이지만, 빚을 아주 화끈하게 져버리면 이것 자체로큰 힘이 나타납니다. 마치 물귀신이 되는 것과 같지요. AIG가 무너지면 이게 심각합니다.. 그래서살았습니다. 베어스턴스가 무너지면 베어스턴스의 카운터파트가 되어준 JP모건이난감해지죠, 그래서 인수되었습니다. 안타까운 리먼은 그냥망했죠.

 

역사는 반복된다고 합니다. 전혀 다른 사건이지만, 시저와 AIG를 비롯한 구제받은 회사들의 입장은 같은 듯 합니다.

 

 

 

Ps.

근대 또 예상 못했던(?)일이 발생했습니다. MMF에서 문제가 발생했네요. 리먼이 무너졌으니 리먼과 엮인 채권에서에러가 발생한 것이죠. 때문에 미국 3개월 국체가 0.02%에 거래되고 있다고 합니다;;;; 유동성 선호가 이만큼 심할수 있을까요. 천하의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가 합병한다는 말도 나오고있습니다. Y모대학의 교수가 골드만삭스의 애기(baby) 퀀트를 만나서 물어보았더니 3000가지의 햇징방법을 가지고 있다는 말을 하는 회사, 한국에서대학졸업하고 한번에 들어가는 사람이 제로라던 그 회사도(뭐 이게 좋고 나쁜 것은 아니지만, 그만큼 선망의 회사란 말이죠) 이렇게 될 정도로 상황이 꼬였네요.


Posted by Freelife
,

리더가 되어라

자기계발 2008. 9. 18. 14:33

리더십이 중요하다는 말을 자주 듣곤 하죠. 그러나 막상 살면서 리더로서의역할을 해본다거나 혹은 이를 공부하는 경우는 많지 않아요. 상당히 추상적인 리더십에 대한 추종이라 할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리더가 되어야 하는 이유를, 또한 이를위해서 자발적으로 리더로서의 역할을 맡아야 하는 이유를 얘기해보고자 합니다.

 

리더의 경험은 더 큰 리더로 부상할 기회를 줄 것입니다. 이는 제가본 ‘광고불변의 법칙’에서 저자 데이비드 오길비가 한 말입니다. 물론“18세에서 22세 사이에 리더가 된적이 있다면 그들은 아마 중년쯤에는 더 큰 리더로 부상할 것이다. 라며 직원선출을 할 때 리더로서의 경험을 보라는 조언을 하고 있지요. (이책은 광고만이 아니라 광고대행사 운영 등 경영 전반적인 부분을 언급하는 책입니다. 좋은 책입니다.) 실제로 사회에서 리더로서 역량을 발휘하고 있는 사람들의 경우, 학생시절에도리더로서의 역할을 해본 경험을 가진 사람들이 많습니다.

 

리더십은 학습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이는 우뇌의 영역에서발현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리더가 된다는 것은 조직활동을 한다는 것이고, 이는 결국 여러 사람들과 조화를 이루는 능력을 필요로 하는 것입니다. 이때조화와 관련된 지적 처리는 우뇌의 영역에서 다루어 지는 것입니다. 이 우뇌의 영역은 아직 좌뇌에 비하여평가의 기준도 모호하고 학습의 방법도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결국 우뇌는 경험적인 방법을 통해서 학습할수 밖에 없습니다. 때문에 리더가 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리더로서의 경험을 하는 것입니다.

(좌뇌적 학습법인 독서, 강의등은 리더가 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는 역할 이상은 할 수 없다는 말입니다.)

 

특히 청소년시기에게 리더십의 중요성을 이야기 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리더십의 중요성 느끼는 경우는 많으나 청소년 시절에는 이를 경험하기 매우 힘듭니다. 또한학습과정에 리더십과 연관된 과목은 전혀 없습니다. 한국의 중고등학교의 서클활동은 제가 학교 다닐 시절에는명목상 유지되는 수준에 불과하였습니다. 때문에 이를 통해서 리더로서의 역할을 해본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했지요. 차라리 학창시절 소위 잘나갔다고 불렸던 친구들이 리더로서의 경험이 더 많아 이러한 측면에서더 능한 경우도 많은 듯 하더군요.


저의 경험을 통해서도 리더십이 있는 친구들이 두각을 내는 것을 보곤 합니다. ‘어떤 친구가 학창시절 공부하고도 별로 상관없는 것 같던데 뭔가 이루었더라’ 라는 소문을 듣고 그 친구에 대해 들어보면 100이면 100 리더십이 뛰어난 사람이더군요


저도 개인적으로 사업을 준비하고 있기에 리더로서 무엇인가를 한다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절실히 느끼고 있습니다. 만일 내가 리더로서의 능력이 더 충분하다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을 가끔 하기도 한답니다. 이 글을 읽으신 분들이, 특히 18~22세사이의 젊은 친구들이 리더 경험의 중요성을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군요. 이만 포스팅 줄이겠습니다.

 

Ps.추석연휴에 초등하교2학년조카를 만나고 깜짝 놀랐습니다. 의외로 자기생각도 있고 논리적이더군요.하긴 시간이 지나서 기억이 안 날뿐이지 저도 스스로 초등학교 입학하면서 ‘훗 이제 난 다컸어’ 이랬고, 유치원에 놀러 가서 “와유치원생들 봐 진짜 어린애들 같아 난 다 컸는데” 이런 적도 있었으니까요. 이 글을 읽은 어린 친구들도 리더의 역할을 꼭 해보길 바래요^^



Posted by Freelife
,

가끔 사람들을 보다 보면, 미래의 자기 자신은 현재의 나보다 의지도 강하고 능력도 좋은 뭐든 할 수 있는 사람으로 생각하면서 행동하는 경우를 볼 수 있어요. "이거 지르자! 좀 비싸면 어때, 내일부터 라면만 먹지 뭐" "오늘은 놀아야겠어! 좀 놀지 뭐, 내일부터 공부하면 괜찮겠지" 등등 미래의 자기 자신에게 뭐든 밀어버리는 행동은 종종 볼 수 있어요. 전 이런 상상을 하곤 합니다. 시간이동이 가능한 전화기가 있다면 가끔 이런 전화가 오지 않을까요? 등장인물을 한 명 만듭시다.

 

등장인물 = A

 

따르릉~

“여보세요, A입니다”

A, 2년 후의 너다”

“어 무슨일이야”

"너 오늘  XXX지르려고 하고 있지, 나 죽을 지경이다 제발 사지마”

“음.. 어떻게 방법이 없을까? 나 진짜 사고 싶은데…”

“그럼 이러는 게 어때, 한 달에 한번씩 얼마를 저금해서 16개월 후에 지르자. 늦어도 2년 후에 꼭 지를게 그땐 약속하겠어. 근데 할부로 지금 사지는 말라고, 나 그거 막다가 사체까지 쓰게 생겼어”

“음 알았어..그러지 뭐”

“ㅇㅋ ㅂ22

 

죽어도 빛은 지고 살지 말라는 말들 흔히 듣곤 하지요? 첫 번째는 자기 자신에게부터 빛을 지지 않고 사는 것이 아닐까 하고 생각해봅니다.

 

오늘 할 일은 오늘 합시다. 오늘의 내가 힘들고 피곤하고 외롭듯이, 미래의 나도 힘들고 피곤하고 외롭긴 마찬가집니다.


ps.글을 쓰고 나니 모기지가 생각나네요. 모기지가 집을 담보로 빚을 지는 건데 이때 사후에 집을 파는 조건으로 돈을 더 빌리기도 해요. 죽은자신에게 돈을 꿔오는 것이죠? 심지어 죽으면 사망보험이 나오는데 이것을 끌어 쓰는 상품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얘기도 나오더군요ㅋ

Posted by Freelife
,

IB들 넘어가는 것을 보니 제목의 말이 떠올랐어요. 이 사태의 근본을 보면 참 어이가 없습니다. 자산의 유동화를 바탕으로 한 돈놀이를 한건데. 가장 큰 주체가 된 것은 모기지고요. 근데 과연 IB들은 누구를 보면서 유동화의 안정성을 평가한 것일까요? 객관적으로 자산가치 하락의 가능성을 생각한 것일까요? 아니면 남들도 하는데 나도 해야지 하면서 행한 것일까요? 구조화 채권을 만들어서 팔고, 팔지 못한 채권을 껴안아서 장열히 전사하다니.. 최신 금융공학이니 뭐니 하면서 헷징을 통해 IB는 안전하다는 신화는 어디 간 걸까요? 아니면 세일즈맨들의 능력을 과신한 걸까요? 혹은 S&P AAA채권이면 아무거나 다 사주는 눈먼 돈을 가지고 있는 아시아와 중동의 사람들을 너무 심하게 얕잡아 본걸까요? 결과적으로 주택가격 하락에 대한 리스크 노출이 회사를 망하게 할정도였으니 말입니다.

그들도 군중심리에 휘둘린 것일까요? 신호등을 보지 않고 옆사람을 보면서 횡단보도를 건너다, 어쩌다 빨간불에 길을 건너다 사고가 난걸까요? 아니면 한탕하고 튀자는 모럴헤저드 현상이 나타난 것일까요? 어찌되었던 앞으로 파생상품을 바탕으로 한 돈놀이가 힘들어 진다면 모든 자산들의 장기적인 금빛 상승의 시대를 기대하기는 힘들겠지요.


ps. 제가 리만브라더스와 산업은행에 대한 글에서 언급했다시피, 여전히 산은이 리먼에대한 인수를 포기한 것에 대해서는 아쉽게 생각합니다.



Posted by Freelife
,
제주도에 꼭 있었으면 하는것 있나요?
바다 경치가 좋은 곳에 이런것이 있었으면 좋겠다?
낚시하기 좋은곳 근처에 이런것이 있었으면 좋겠다?
해외에는 이런것이 있던데 제주도에는 없더라

등등

제주도에 부족한게 무엇인지 고민중입니다ㅎ

혹시라도 이 글을 보신 여러분들중 위에있는 저의 물음에대한 답이 있으신 분들은 꼭 리플 부탁드릴께요
가볍게 아무 생각아나 남겨주세요!!
전 제 블로그를 대화의 공간으로 만들고 싶습니다^^
Posted by Freelif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