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연쇄살인범 30인에 유영철이 올라있다는 뉴스가 오늘 포털 탑에떠있다. 서해안 갯벌에서는 식인상어가 나타났다고 또 뉴스 톱이다. 살인범은 늘 상 있어왔고 앞으로도 있을 것이다. 식인상어? 상어 앞에 식인이란 말을 붙이는게 미안하지만(그렇다면 호랑이도 식인호랑이 사자도 식인사자다) 상어도 늘 상 있어왔다. 사람의 죽음에 그럼 살인마와 상어가 미치는 영향은? 아주 미미하다. 물론 당사자에게는 매우 안된 일이지만.

살인자와 식인상어에 대한 뉴스는 공익을 위한 것일까? 전혀 아니다. 공익을 위해서라면, 조기 암 검진의 중요성에 대한 메시지를 계속 던져주고 물에 빠졌을 때의 대응방법, 그리고 '해파리'의 위험함을 강조하는 것이 더 맞다. (해파리 위험하다, 다이빙도중 쓸려봤는데 퉁퉁 붓는 것이 장난 아니다. 알러지 반응이라도 있다면? 죽을 수 있다. 해파리에 의한 죽음이 상어에 의한 죽음보다 훨씬 많다)

뉴스가 원하는 것은? 관심이다. 정보포화의 오늘날 제일 희소한 것은 사람들의 관심이다. 그럼 사람은 무엇에 관심을 가지는가뭐니뭐니해도 재일 우선인 것은 '죽음' 이다. 그것도 자연스러운 죽음이 아닌 어찌 저항할 수 없는 죽음, 공포 말이다. 왜냐하면 이러한 공포에 대해서는 뇌의 아주 본능적인 부위(편도체)에서 경고 반응을 하기 때문에 우리는 그것에 바로 반응을 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서는 '관심의 경제학' 이라는 책에 잘 나와있다. 그 중 가장 와닿았던 내용은 관심의 상대적 비교였다. 같은 관심에 대해서도 상대적인 대립 요소가있다. 회피적 - 매력적, 무의식적 - 의식적, 강요된 - 자발적 이렇게 3가지의 대립요소가있다. 물론 이 대립요소도 동시 성립도 가능하다. 그러한 동시 성립을 제외하고 비교를 할 때에는 매력적인 요소보다 회피적인 요소에 자발적 요소보다 강요된 요소에 사람은 더 반응한다고 한다.

연쇄살인범에 의한 죽음, 식인상어에 의한 죽음 회피적 관심의 절대적인 상징이다.

공포라는 얘기를 했는데, 노스트라다무스의 예언이 기억나는가? 가장 기억이 나는 문구는 뭐니뭐니해도 '공포의 대왕이 나타난다'는 문구일 것이다. 거기다가 관심 받기 좋게 맨 마지막에있다.  문구 때문일까? 노스트라다무스는 정말 오랜 시간 관심 받아왔다.

관심의 경제학에서는 공포에 대한 회피적 관심에 빗대어 이런 얘기를 한다. 관심을 받고 싶거든 차라리 목에 뱀을 하나 걸고 나타나라고. 사람들은 뱀 때문에 당신에게 관심을 안 가질 수 없게 될 것이다.

새 프로젝트를 런칭해야하는 나도 관심이 부족하다.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관심을 보일 것인가. 고민할 요소가 정말 많다. 만일 내가 '공포의'준혁 이라는 별명을 사용하거나 뱀을 목에 걸고 어딘가 나타나더라도 '이 친구가 관심이 부족해서 이러는구나' 라는 넓은 마음으로 이해를 해주길 바란다.

그리고 여기까지 글을 봐준 여러분, 관심 가지고 자주 놀러와주시거나 rss리더 등록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이만.

ps.
맨 위의 코브라 사진 보기만 해도 가슴이 섬뜩하고 그냥 관심이 가지 않는가?

Posted by Freelife
,
웹 프로젝트의 막바지에 와서 난감한 일을 겪고 있다. 사용자의상태가 다들 너무 다른 것이다. IE6,7문제까지는 어느 정도 예상했던 것이다. 폰트가 없을 수 있다는 것도 예상했다. (현재 나눔고딕과 -> 맑은고딕 -> 돋움 순으로 폰트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사용자의 모니터환경이 나쁠 것은 전혀 생각도 못했었다. 파스텔톤이 많이 들어가게 디자인이 되어있는데 그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사용자의 모니터 설정이 좋지 않은모니터(구형 lcd 등 색 제현이 좋지 않은 혹은 설정이 잘못된)에서는 파스텔 톤이 그냥 하얗게 뜨는 것이다. 또한 ie6도 그냥 내 컴퓨터에서의 테스트에서는 큰 문제가 없었는데, 이것도구형컴퓨터에 ie6가 깔려있는 복합적인 상황에서는 매우 나쁜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있다.  컴퓨터가 좋지않은상황(5년정도 된 컴퓨터)에 ie6가 깔려있고 모니터도 구형이라 색 제현도가 매우 낮은 그런 '복학적'인 안 좋은 조건이 모여있는 컴퓨터로 진행중인 사이트를 실행해보니... 이럴 수가 전혀 이건 사용이불가능 해 보인다.

싸나이~ 칼을 뽑았으면 무라도 써는 심정으로 진행은 해야 하지만 뭔가 답답하다. 거기에다 UI마저 예상보다 테스트환경에서 유저들이 힘들어하고 있다.

오브젝티파이드 라는 디자인영화를 최근에 봤다. 제일 기억에 남는 내용은 맨 처음부분에서나왔다. 테스트를 할 때 중간레벨의 사람을 대상으로는 테스트 할 필요가 없다고 했다. 장애인과 운동선수를 대상으로(극단적인 환경이 나쁜 사용자와 좋은사용자)를 대상으로 테스트를 하고 이들이 만족한다면 중간단계의 사람들은 모두 만족한다는 것이다. 극단적 환경에서의 테스트, 이러한 것을 고려하지 못하고 프로젝트를진행했다.

37signals 의 Getting real 에서는 일단 웹이라면 오픈하고 수정하라고 한다. 맞는 말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주변에서는 처음에 사용자가 불만족하면다시는 그 사이트에 오지 않을 것이라는 말들을 한다. 게임과 같이 설치 형 소프트웨어에서는 그것이 매우크게 보였다. 그러나 웹에서도 그럴까? 일단 아니라는 쪽으로생각하고 싶다. 웹은 접근성이 높기 때문에(굳이 프로그램을깔 필요가 없기 때문에) 나중에라도 다시 접근하는 것을 심하게 거부하리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과연 어떻게 될까? 진행중인 프로젝트는 사용자에게 불편한 부분(익숙하지 않은 인터페이스와 모니터 설정에 따라 잘 안 보이는 디자인)이분명히 있다. 그래도 사용자에게 뭔가 도움이 될 수 있는 사이트라고 생각한다.

나는 운명이란 것을 믿지 않는다. 이제 동전은 내 손을 떠나기 직전이다. 그러나 이 동전 이후에도 수많은 동전을 나는 던져야 할 것이다. 한방? 그런 것 없다. 앞으로도 여러 번 더 예상 밖의 난감한 상황을 맞이할것이 분명하다. 명저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에서 ‘스톡데일 페러독스’ 라는말이 나온다. 이는 ‘아무리 어려워도 결국엔 성공할 거라는믿음을 잃지 않으면서, 동시에 눈앞에 닥친 현실 속의 냉혹한 사실들을 직시해야 한다’ 는 의미이다. 지금 우리 프로젝트를 위해서 필요한 자세가 이 스톡데일페러독스 적인 자세가 아닐까? 다시 한번 마음을 가다듬자.
Posted by Freelife
,
당신에게는 사고의 틀을 이루는 것들이 있는가? 나름 이것저것 관심을 가지고 책을 보고 생각을 하다 보니 몇 가지 내 사고의 큰 틀이 되는 이론들을 찾게 되었다. 그럼 각각에 대해서 간략히 적어보겠다.


게임이론
게임이론의 핵심은 균형점에 있다. 참여자들의 선택에 따른 인센티브 상황에 따라서 균형점이 발생한다. 그러나 이 균형점은 전체 참여자의 최대 효용을 실현시켜주지 않는다. 오히려 최대손실 상황에서 균형이 만들어지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게임이론을 이해한다면 비합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상황들이 왜 발생하고 있는지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비합리적 상황의 반복을 끝내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 판단하는데 도움을 준다.

복잡계이론
복잡계이론의 핵심은 전체 시스템의 참여자들이 복잡한 형태로 연결되어있고 서로간에 상호 신호를 주고받는 경우에는, 자기조직화와 창발현상과 같은 일들이 발생하게된다. 이러한 현상은 기존의 평형적인 페러다임으로서는 접근이 불가능하다. 평형이 존재하지 않는 극단의 세계인 것이다. 최근의 금융위기, 갑작스러운 트위터의 성공 등이 이러한 현상의 예가 될 것이다. 이 세상의 근본적인 작동원리에 대한 복잡계적 시각을 가지게 된다면 극단적인 이 세상이 ‘덜’ 이상해 보일 것이다.

칼포퍼의 반증가능성
포퍼의 핵심은 반증가능성이다. 즉 반증 가능한 것만이 과학이며 반증이 불가능한 주장은 과학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포퍼는 맑시즘과 프로이트 등을 비판한다. 왜냐하면 그들은 예언적으로 선언은 하나, 자신들의 이론이 어떠하다면 틀리다는 반증의 가능성을 열어두지 않기 때문이다. 포퍼의 이러한 사고는 해석과 예언에 대한 경계를 분명히 할 수 있게 해주며, 자기 생각의 옳고 그름의 한계에 대해서 스스로 해석해볼 수 있도록 해준다.

진화론
진화론의 핵심은 진화가 진보가 아니라는 것과 적자생존이다. 진화란 무작위적인 발생사건중 적자가 생존해서 만들어나가는 것이다. 그러나 이 적자가 절대적으로 타자에비해서 우월한 것이 아니라 ‘특정상황’에서 우위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적자생존이란 것이 장기적 진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단기적 우위 선택에 더 가깝다. 즉 진화론은 살아남은 자가 강한자라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고, 또한 강한자가 절대적 우월한 것이 아니라는 것도 의미한다. 이러한 진화론의 프래임은 생물학적인 것만이 아니라 사회와 조직의 발전상에도 여러 가지로 해석이 가능하다. 한 사회 혹은 조직의 여러 문화와 관습등도 이러한 진화론적 우위의 결과물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면 이러한 관점들을 가지고 한번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문제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자. (이는 사고의 셈플이 될 것이다)
 진화론부터 시작을 하자. 이를 가지고 맑시즘을 비판할 수 있다. 맑스는 인간사회의 발전상과 그러한 연속성의 결과에 의하여 사회주의국가의 탄생을 예언하였다. 그러나 진화론적 관점으로 사회를 본다면, 사회는 장기적인 큰 틀을 보고 우월한 조직체계를 만들어간다기 보다는 단기적으로 수정과 피드백을 계속 거치면서 적자가 살아남으며 지금까지 만들어져 온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현대 자본주의사회가 만들어졌다. 그렇다면 자본주의 사회의 문제 해결이 사회주의가 될 수 있을까? 진화론적으론 전혀 아니다. 오히려 자본주의 사회에서 미시적인 수정을 거치면서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사회가 진화론적으로 예측 가능할 것이다. 실제로 맑스가 비판한 영국 노동자들의 문제는 자본가들과 노동자들 스스로 해결했었다. 포퍼의 관점으로 맑스를 비판한 것은 이미 얘기를 했다.

 그렇다면 이 사회의 바람직한 변화를 위해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그냥 진화의 결과물에 대해서 우리는 체념 해야 하는가? 그건 아니다. 게임이론적 관점을 가지고 적자가 무엇인지를 생각해야한다. 적자는 균형점에 있는 것들이다. 이 균형점을 바꾸어준다면 새로운 적자가 나올 것이다. 이러한 관점을 가진다면 사회적으로 자신이 바라는 목표가 있을 때 막연히 그것을 주장하기보다는 사회의 현 균형점과 자신이 목표로 하는 이상적 균형점 사이의 간극을 매꾸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균형점의 변화를 만드는 것은 복잡계적으로 바라보아야 한다. 이사회의 참여자들은 복잡하게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사회적인 현상들은 자기조직화와 창발적인 형태로 발생하게된다. 이러한 현상을 시발점으로 해서 사회적인 운동을 만들어나가는 것이 복잡계적인 사회에서 작은 목소리가 큰 목소리가 되기 위한 유일한 방법일 것이다. 또한 복잡계적인 사고를 가진다면 자신이 목표로한 것이 전혀 다른 결과물을 낳는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복잡계 시스템하에서 이를 컨트롤하는 것은 무리가 따르기 때문이다.

Posted by Freelife
,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똑똑한사람을 여럿 찾을 수 있다. Old and wise 라는 표현처럼 현명하다는 것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것일 수 있다. 젊다는것은 공부한 시간이 적고 사회적 경험이 부족하다는 의미일 수 있다.

 그렇다면 젊음의 장점은 무엇인가?  '행동함' 이 젊음이 가질 수 있는 가치가 않을까? 다소 무모해 보이더라도 실행해서 해나가는것. 그것을 제외하면 젊음의 가치는 퇴색될 것이다.

 어서빨리 '행동'
으로 무엇인가 보여주고싶다.

'자기계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뢰의 기준  (0) 2010.06.25
내가 이상한 사람이라고 느껴진다면?  (2) 2008.10.01
고독과 외로움에 대하여  (4) 2008.09.28
파워포인트 PPT 프리젠테이션 잘하는 방법  (0) 2008.09.20
리더가 되어라  (0) 2008.09.18
Posted by Freelife
,

KIKO를 왜 샀을까?

경제 2008. 10. 26. 23:43


한국 금융상황이 말이 아닙니다. 물론 이 시초는 미국발이지만 한국이 가장 취약한 상태임을 환율,주가 등으로 여실히 보여주고 있는 상황입니다. 여기서 최대의 피해자는 KIKO(Knock-in Knock-out Option,정식명칭 barrier option)를 매수한 중소 기업들입니다. 저는 참 의아해했습니다. KIKO를 매수했을까? 키코는 엄청 위험하며 값은싼 옵션입니다. 때문에 벌면 돈을 왕창 벌 수 있지만, 잃으면 아주 크게 잃을 가능성이 큽니다. 정상적인 재무적 지식을 가진 담당자가 있다면 KIKO를 함부로 사지 않을 것입니다. 저는 그래서 당연히 중소기업들이 환헷지를 하긴 하고 싶은데 이왕이면 싸게 하고(KIKO의 유일한 장점은 싸다는 것입니다) 거기다가 돈도 더 벌어보자 는 투기적 마인드를 가지고 KIKO를 샀다고 생각했습니다. 언론에 서도 왜 중소기업이 KIKO를 샀는가에 대한 언급을 별로 하지 않았습니다.

 

 나중에 저의 지인을 통해서 이에 대한 이야기를 듣게 되었습니다. 중소기업이 은행 대출을 받고자 할 때 은행 측에서 KIKO를 거의 강매했다고 했습니다. 즉 은행들의 오랜 관행인 끼워팔기 스타일로 대출과 함께 KIKO를 강매한 것입니다. 또한 당시에 950원정도의 환율이 상당히 오래 지속되었기에 재무적 지식이 없는 중소기업 담당자로서는 쉽게 싸인을 했을 것입니다.

 

카드끼워팔기, 펀드끼워팔기 만 있었던게 아니고 KIKO도 끼워팔기 했다는 생생한 증언을 들으니, 한국의 중소기업들이 참 안타깝게 느껴졌습니다. 한푼 더 벌어보겠다는 은행들의 욕심 때문에 피곤하게 카드사고,펀드사고 또 KIKO까지 사서 회사까지 망하다니.. 사실 또 우낀게 은행 때문에 산 KIKO때문에 은행도 대출해준 돈을 받지 못하게 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KIKO는 백투백, 즉 외국은행이 판매한 것이고 한국의 은행들은 소매상처럼 물건을 인도한 역할밖에 하지 않았습니다. 중소기업->파산, 외국은행->키코평가이익 한국은행->대출자산 부실화 이렇게 되겠네요. 한국은행들 참 근시안적입니다.

 

 

Ps1.은행은 왜 키코를 팔았는가? 하며 애초에 워낙 키코가 싼 옵션이기에 이를 판매하면 상당히 많은 이익을 남길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싼 거니 좀 비싸게 팔아도 티가 덜 나죠.

 

ps2. 사진은 구글에서 KIKO 검색해서 나온거 그냥 퍼왔습니다. 엘범이라는대 엘범명이 '혼자서 암흑속에' 이군요. 왠지 한국의 중소기업들의 상황과 어울립니다.


ps3.kiko의 규모가 이 때문에 한국은행들의 대출자산 부실화가 될정도로 크진 않습니다. 아무튼 안타까워서 쓴 글입니다.

 

Posted by Freelife
,